[세미나]Korea Mobile UX Conference 2013 _ 20130314
제목 : Korea Mobile UX Conference 2013
일시 : 2013-03-14
주최 : KMobile
강의노트 원문 : http://goo.gl/b0VG9
(이미지나 들여쓰기가 안 보이면 원문으로 보세요)
=========================
=========================
Post Human, Post UX
서울대 융합대학원 이중식 교수
강의슬라이드 다운로드 http://goo.gl/gnrCs
사진첩의 사진은 어떤 유형?
- (A형)전통적 사진 vs (B형)메모, 스샷_주로 기호로 이루어짐
- 왜 (B형)과 같은 사진을 찍을까?에서 연구 출발.
연구방법
- 사진첩 모아보기(썸네일 목록)을 프린트 하여 리서치 진행.
- (프라이버시 관련 내용은 모두 가림)
- 각 썸네일에 찍은 이유와 용도에 따라 코드 기호로 분류.
- 결과
- => 쓰기나 기억을 대체하기 위해 사진으로 촬영함.
- => 촬영된 사진은 다른 매체에 공유 하기도 함.
- 이런 (B형) 사진은 금방 잊는다.
- 왜? => 보험과 같이 찍어두고 안심하는 심적 위안용이므로
- 인상 깊어도 잊는 유형(검사 결과, 시 문구 등)
- 참고하려 했으나 잊는 유형(카드 혜택 안내문, 포스터 등)
- 필요해서 다시 찾아보는 유형(쿠폰, 화이트보드 회의내용 등)
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점
- 사진 앨범 = 눈의 대체, 쓰기의 대체, 세계관의 변화
=> 보는 세상은 모니터가 이미 절반
말로 메모하기
- 운전하면서 말을 녹음하며 메모하는 행위.
- Right now 조바심에 의해 기록을 해야 안심.
말로 하는 글쓰기로 인해 글 내용이 바뀜
- 구어체와 문어체의 차이에 의해 발생함.
- 문의체인 경우 '생각-타이핑-반추' 과정을 통해 글이 완성되나
말을 바로 글로 바꿀 경우 위 과정이 누락되어 기계적인 글이 될 수 있음.
예)voice dictation으로 글쓰기
2차 구술성 등장
- 문자, 메신저를 통한 '구술성'과 기존 '문자성'의 혼종을 뜻함.
- (참고)Cognitive narratology(이정모)
- http://goo.gl/YDvll
- 인지과학 + 문학
- 인지과학 -> 내러티브 or 내러티브 -> 인지과학의 두 가지 방향 존재.
자극이 생각을 만든다. => 반응형 인간
책을 읽다, 영화를 보다, 길을 걷다 메모한다.
- 시작은 자극에서
- 실제 앱 실행의 이유도 다른 앱에서 전환되는 경우가 많다
- 기록 즉시 공유한다.
- B형의 사진이 늘어남, 보내지 않으면 찍은 것도 잊게 됨
- 시간적으로 안정되면 이후에 모두 리믹스 하는 과정을 거친다.
Post Human
근대적인 몸의 표상체계를 넘어선 탈근대의 신인류를 뜻함.
- 물리적으로 지각 -> 보조도구를 통한 감각의 확장으로 지각
- 절대적 경계가 미 존재 (이종성 -> 혼종성)
- 정보 수집 자체가 오픈북 테스트 형태
(모두 다 알지는 못하지만 보조도구로 찾아낼 수 있다) - 기계와 인간의 융합 => 사이보그
- 하이퍼텍스트, 하이퍼플레이스
- 네비게이션 등장으로 경로는 사라지고
- 목적지만 알아도 길을 찾을 수 있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
=========================
Optimus G Pro - 나를 이해하는 스스로 UX
LG전자 박원주, 천호상 수석
Optimus G Pro?
- 각 매체를 통해 호평 받음. (왜) 최강 하드웨어 + 입체적 UX
Concept : 나를 이해하는 스스로 UX
- 사람으로서의 나와 사용자로서의 나를 함께 이해.
- 사람 : 즐거움 추구 -> Multimedia <- 몰입 필요
- 사용자 : 이해를 바람 -> Intelligence <- 배려 필요
- 몰입으로 즐거움 주기
- 몰입이란? (from. 칙센트 미하이 - 몰입의 경영)
- 난이도, 실력 정도에 따라 몰입의 즐거움 누릴 수 있다.(불안, 권태와 비교)
- 몰입의 종류
- 강제적 몰입(말의 안대, 도서관 칸막이)
- 자발적 몰입(연주, 요리)
- 모바일에서의 몰입하게 하려면
- 정보와 인터랙션의 밀도 높이기

- 모든 도구를 모아 집중하게 하기
- 도구의 중첩
- (사례)Smart Mirror : 헤어샵에서 거울에서 정보 제공

- => 슬라이드 2.0 : 전화하며 메모, 일정보며 메모, 인터넷 보며 카톡

- 시점의 중첩
- (사례)백미러 보며 주차

- => Dual Recording : 찍히는 찍는 사람을 함께 촬영
http://www.youtube.com/watch?v=UdfmOBpTEwg
- => Dual Recording : 찍히는 찍는 사람을 함께 촬영


- 미디어 공유
- Smart Share

- 나를 알아주는 Intelligence
- 진정한 Smart 어렵다.(아직 더 미래의 이야기)
- => Intelligence가 적당. 아래 Intelligence한 옵티머스Q 기능
- Q 리모트
- 송도 아파트에서 주부 사용자 조사를 통해 제안
- 결과
- 주 사용자(주부)가 앱을 켜지 조차 못하는 경우가 많다.
- => Lock Screen, Quick Panel, Home Key에 실행 위젯 배치
- 남편 들이 설치해준다.
- => IR(적외선 인체 감지 센서)로 켜 준다


- 티비 보며 애니팡,카톡 한다.
- =>멀티태스킹, 빠른 속도 제공
- (참고) Mark Weiser
- 유비쿼터스 컴퓨팅 창시자
- http://goo.gl/nGgtj
- Augment Reality와 유비쿼터스는 반대 개념.
- -> 그러나, Google이 Glasses로 시도 중
- Smart 까지 안되더라도 Intelligence는 되어야 유비쿼터스.
- 내 상황에 맞게 자동 실행 필요.
- Weiser 정책
- Quite, Calm
- Ambient intelligence
- Context aware
- Personalized
- http://goo.gl/bCkOO
- Intelligence = Understanding. = Human needs

- Q Voice
-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한 음성 안내


- 내폰과 대화
- 사용자가 폰을 두고온 경우 SMS로 내 폰의 상화을 파악할 수 있음
- email, 부재 중 전화, 일정 확인 등.

- Creativity in UX Designer
- 마케팅과 UX의 유사성
- Process expert rather than domain expert.
- Close to the users : UT 할 수록 전문가가 됨
- Require creativity
- Steven Johnson : Where good ideas come from
- http://youtu.be/NugRZGDbPFU
- 정말 열심히 노력해야 나올 수 있는 것이 아이디어.
- 더 읽기
- http://negna.tistory.com/1435#.UWOaS6K-2So
- System Design vs Genius Design
- = Ms, Google vs Apple
- 사용자 조사 할 필요 없다. 그 분야의 전문가가 필요할 뿐.
- 남들이 못보는 눈이 필요하다, 10년 이상은 해야 한다.
- 10-3-1 Method
- http://bahns.net/5673461
- 패턴을 깨야만 한다(고정관념 깨야 한다)
- 물고기도 나무 탈 수 있다는 생각이 필요하다.(아인슈타인)
- 공포에 직면할 수 있어야 한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
=========================
Flexible Display UX
Inno UX 최병호 대표
What's Flexible?
: 들고 다니는 것? -> 착용할 수 있는 것.
Wearable UX
- 팔찌
- Embrace+
- 스마트폰 연동 팔찌 알리미
- http://kck.st/Y8arB2
- 팔찌의 개성표출, 폰과 연동, 밤에 적합

- MTA RELAY : 뉴욕 지하철 도우미(사용자 상태에 따라 정보 제공)

- MP3 Player Creativen : 음악 청취, 공유

- 시계
- iWatch Future Concept
- http://www.youtube.com/watch?v=u5OV_BJreTA
- 시계 기능 확장(알람, 일정관리), 탁상겸용,
- 인증, 통화, 운동, 기억 확장
- Wearable Gesture
- MYO http://youtu.be/oWu9TFJjHaM
- 염력의 재탄생, 창의적 프리젠테이션 가능, 레코딩 한계 없어짐
- Philips Fluid smartphone with flexible OLED Displayㅡㅡ

- 입으로 할 수 없나
- AirWaves : 대기오염 측정 마스크
- http://goo.gl/caFbV

- 잡는 건 안되나 :
- ICHO : 시각장애인용 네비게이터

- Tree Voice : 로컬 환경(소음, 온도, 대기오염 등) 데이터 제공

- Sikker-baby : 엄마와 아기를 위한 팔찌
- (Baby Monitor, 아기온도 측정, 음악 재생 등)

- 더 보기 http://goo.gl/mJruv
Glasses UX
- The future of Mobile
- http://youtu.be/13ZQ4LbE2u0
- g-커머스 g-인물 검색, 입체정보 폭발, 테마검색,
- Google Glass 'How it feels'
- Discover the future of frozen foods
- http://youtu.be/xnIoGzur0h4
- 코디/행동 추천, 즉각 투두 실행, 뉴스, 냉장고 관리,
- 칼로리 소모 안내, 메시지, 상품 네비게이션, 결제
Smart Phone/Tablet Flexible UX
- PaperTab http://goo.gl/ZyK19
- Nokia Morph Concept
- http://youtu.be/Zto6aTZM9t0
- 크기 선택의 자유, 휴대의 편리
- A day made of Glass
- Future of Screen Technology
- Corning : 디스플레이가 커진다면?, 종이처럼 얇아진다면?
- Plastic Logic demos flexible display concepts
- Rolltop
- Flexible Cellphone
- Samsung Flexible AMOLED
- flicflex
- Samsung Youm OLED Flexible Display AD
Flexible Layout
- PARKd http://goo.gl/iGJ5V
- aquarium sink

- Smart Hydro Bathtub

- NYC beacon http://vimeo.com/61202867

- Corning : 버스 정류장 Layout
- Corning : 자동차에서의 Layout
UX Ecosystem
- Amazing nike : Fuel band
- http://www.nike.com/us/en_us/c/nikeplus-fuelband
- 운동기록, 목표확인, 폰연동, SNS
Others
- Pandora : Flexible Display Note http://goo.gl/JRWvQ

- Impress - flexible display http://vimeo.com/3187100
- Flexible Screen Door http://goo.gl/nqJqC

- Amazing toy http://goo.gl/I2lEF
- the v motion project http://vimeo.com/45417241
=========================
=========================
Full HD in Mobile, 패블릿 이야기
KT 오병철 과장
더 작게 혹은 더 크게
- iphone 10
- http://www.youtube.com/watch?v=eOdMxJruMJA
- 휴대폰의 물리적 UX에 대한 고민
- 모토롤라 다이나택 : 최초 휴대폰

- 점점 작은 사이즈, 점점 큰 스크린 : 두개의 큰 축

- 소형화
- 무어의 법칙 : 18개월마다 저장의 소형화
-
- 레티나 디스플레이 : 화질에 대한 발전
- 모빌리티 : 작고 가볍게 그러나 조작에 대한 크기 유지는 필수
실제로 어떻게 쓰나?
- 한 손 조작이 적절한가?
- 아니면 두 손 조작인가? : 타이핑, 컨텐츠 탐색, 펜 사용 시
- Steven hoover : How people hold & interact
- http://goo.gl/g4Ojm
- 한 손 49% 두 손 15% 잡고 한손 36%
- 한 손 : 화면내 한 손으로 닿기 수월 그렇지 않은 영역 존재
- 잡고 한 손: 화면 전체를 대부분 쓸 수 있다.(엄지 72, 검지 28%)
- 두 손 : 쿼티입력, 게임
Platform & Contents
- Full HD 제작환경 조성
- 가로세로비 : 3:2 (표준 문서) -> 16:9 (황금비율)로 변화
Smart 디바이스 특징
- Future of smart Device
- 요구기능에 따라 크기에 대한 요구가 달라짐
- 요구기능에 따라 크기에 대한 요구가 달라짐
- Smart폰 선택 시 고려사항
- 디자인과 크기, 화질이 중요 -> 디바이스 크기 결정이 중요함

폰, 태블릿? 패블릿!
- 폰 vs 태블릿의 고민 -> 패블릿으로!
- 참고 : http://www.lukew.com/ff/entry.asp?1649

커뮤니케이션, 뷰어, 원스크린, 5-7인치, 한손 또는 두손 조작
마케팅 방식은? 어떻게 보이고 싶어했나.
- 갤럭시 노트 : 펜을 주었다.(실제 리서치와는 관련 없으나 마케팅으로 결과 냄)
- Optimus 뷰 : 스크린 사이즈로 미학 강조 4:3
- 갤럭시 노트2 : 사용자 측면 더 강조
- Optimus 뷰2 : 생각지도 못하게 또 나옴
- Vega N6 : 보기 위한 폰
- Optimus G : 5.5 full HD
패블릿 특화 인터페이스
- One hand keypad
- Adaptive Floating UI

- Multi Tasking : 화면 분할, 투명도, 팝업 레이어
- 펜 제공(두손 조작의 확장)
- 뒷면에 센서 제공
- 크래들 형식의 키보드 액세서리
- Voice UI : 음성 인식, 음성 키보드
패블릿 Will Be
- Secondary가 아닌 First 스크린 지향
- 사용성을 위한 아이디어 계속 접목
- 세일 포인트 확보를 위한 마케팅 Plan
- 다양한 컨텐츠 수용
- Wearable Device 등장 : iWatch, Google Glasses
- 입출력 부자연 스러움 : 당분간은 핸드 핼드 디바이스일 것이다.
- First Screen Should be
- 커뮤니케이션
- 컨텐츠 소비
- 유일한 디바이스
'UX La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2년 전. 미니돌 아바타들. (0) | 2014.08.04 |
---|---|
iOS7 스크린샷 (Screen shot ) (0) | 2013.06.11 |
[세미나]Korea Mobile UX Conference 2013 _ 20130314 (0) | 2013.04.12 |
[교육] 성과관리 리더십 - 류랑도 _ 20130313 (2) | 2013.03.15 |
[세미나]UX/디자이너/기획자들을 위한 개발이야기 _ 20130227 (0) | 2013.03.04 |
[교육] 비즈니스모델을 찾고 특허로 만드는 실전 테크닉 배우기 20130218 (0) | 2013.02.20 |